이창준 기자

 

공무원 중 18.1%가 최근 1년 내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적이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11월 인사혁신처와 합동으로 공무원 15만4317명에게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조사에 참여한 공무원 중 6만4978명은 정부 부처 등 중앙 행정기관 소속이었으며, 8만9349명은 지방자치단체 소속이었다.

간부 모시는 날은 직원들이 순번을 정해 사비로 간부에게 음식 대접을 하는 관행을 뜻한다. 중앙부처 공무원 중엔 10.1%가 ‘최근 1년 내 간부 모시는 날을 경험한 적 있다’고 답했다. 반면 지자체 공무원의 응답률은 23.9%로 2배였다.

중앙부처 공무원은 간부 모시는 날을 월 1~2회 경험했다는 응답이 46.1%로 높았다. 반면 지방 공무원은 주 1~2회 경험했다는 응답이 45.9%로 가장 많았다. 중앙부처보다 지자체에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보인다.

간부 모시는 날 대상자는 부서장(과장급)이 57.0%로 가장 많았고 국장급(33.6%)이 뒤를 이었다. 간부 모시는 날이 지속되는 원인으로는 ‘기존부터 지속되던 관행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37.8%로 가장 많았다.

응답자 중 91%는 간부 모시는 날이 필요하지 않다고 답했다. 37.4%는 간부 모시는 날을 근절하기 위해서는 간부 공무원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기관장의 강한 근절 의지가 필요하다는 답변도 29.2%였다.

행안부는 인사처, 국민권익위원회와 함께 간부 모시는 날 근절 관련 대책 회의를 이날 개최했다. 행안부는 기관장을 비롯한 간부들의 인식 개선을 추진하고, 추후 실태조사를 다시 하기로 했다.

Posted by 윤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