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직구 가능한 어린이용 한복과 장신구 총 9종에서 기준치를 넘는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해외 온라인 플랫폼에서 판매 중인 어린이용 한복 7종, 장신구 5종, 완구 1종을 검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어린이용 한복 7종 중 5종에서는 폼알데히드와 수소이온농도(pH)가 기준치를 넘어섰다. 남아용 한복 제품에서는 조끼 안감과 저고리 원단의 pH가 8.6으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국내 pH 기준치는 4.0~7.5로, 기준치 밖의 제품은 강산성 또는 강알칼리성이라 피부 자극, 알러지성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
여아용 한복 2개 제품에서는 치마의 안감, 겉감의 자수, 저고리 등에서 pH가 8.7~10.3으로 측정됐다. 또 다른 여아용 한복 1개 제품은 치마 안감의 pH 수치가 7.7이었으며, 상의에는 폼알데히드가 기준치 대비 4.5배 초과 검출됐다. 폼알데히드는 새집 증후군을 일으키는 발암물질로, 안구 자극, 호흡 곤란, 두통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어린이용 장신구 5종 중 3종에서도 유해물질이 검출됐다. 머리띠 한 제품에서는 납이 기준치(㎏당 100㎎)의 8.1배 검출됐으며, 다른 머리띠 제품에서는 아릴아민이 기준치(㎏당 30㎎) 대비 1.8배 초과 검출됐다. 납은 노출되면 생식기능에 해를 끼치고 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아릴아민은 발암성 물질로 피부와 구강에 장기간 접촉하면 피부염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다.
댕기 형태 장식품에서는 금속 장식이 어린이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뱀 모양의 어린이 완구는 일부 부품의 끝이 날카로워 어린이에게 상해를 입힐 수 있다는 검사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는 지난해 4월부터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검사를 23회 실시했다. 총 1621개 제품을 시험한 결과 172개 제품이 국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해물질 중에서는 중금속이 검출된 경우가 77회로 제일 많았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도 57회 검출됐다.
서울시는 올해에도 매월 해외직구 제품 안전성 검사를 발표하기로 했다. 다음달에는 학용품이 검사 대상이다. 서울시는 올해부터 정기적으로 유통을 점검해 유해제품이 재판매되는 일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서울은 이랬다 > 서울시와 자치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26일]내년부터 쓰레기 직매립 금지되는데…갈수록 꼬이는 ‘마포 소각장’ 건립 (0) | 2025.01.27 |
---|---|
[1월24일]면목본동에 모아타운 1656가구 들어선다 (1) | 2025.01.27 |
[1월23일]지난해 서울시 사회복무요원 10명 경고조치, 7명 고발 (1) | 2025.01.27 |
[1월23일]코엑스 도심공항 2029년 부활…현 부지엔 업무시설·전시장 (1) | 2025.01.27 |
[1월23일]오세훈, 내란 국정조사 두고 “군 기밀 새…김정은 미소 지을 행위” (0) | 2025.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