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업의 고용창출 능력이 최근 8년간 절반 가까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의 고용창출 능력을 높이려면 대규모 사회간접자본(SOC) 건설 대신 시설물·주택 유지보수 등 새로운 분야로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의 ‘산업연관표’를 보면 2006년 10.7명이던 건설업의 고용계수가 2014년에는 5.9명으로 44.9% 감소했다.
고용계수는 해당 산업에서 10억원 규모 산출물을 만드는 데 투입하는 상용·임시노동자 수를 뜻한다. 2006년에는 10억원 규모 건축물을 만드는 데 노동자 10.7명이 필요했는데 8년 뒤 5.9명으로 줄어든 것이다. 건설업의 고용유발계수도 2006년 15.2명에서 2014년 10.2명으로 32.8% 감소했다. 고용유발계수는 10억원 규모 공사 때 건설업뿐 아니라 연관된 다른 산업에서 직간접적으로 투입된 노동자 수를 뜻한다.
국토연구원이 국토교통부의 의뢰로 올해 작성한 ‘국토교통 분야 산업·직업별 고용현황 조사 및 분석’ 보고서는 건설업 고용창출 능력 감소의 1차 원인으로 ‘생산력 향상’을 꼽았다. 굴착기나 크레인 등 건설기계 사용이 늘어 노동자 수가 줄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2차 원인으로 경기침체로 인한 건설업체의 일거리 감소와 외국인 노동자 증가가 지목됐다.
'정부는 이랬다 > 국토토지도시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월6일]수공 신임 사장 "4대강 보 해체하면 또 혈세 붓게 된다" 반대 입장 재확인 (0) | 2016.10.09 |
---|---|
[10월4일][단독]LH ’부동산 개발 PF’ 첫 파산 위기 (0) | 2016.10.09 |
[9월27일]정부 "철도 파업은 불법" ··· '고임금 노동자가 청년 취업 막는다' 프레임 덧씌워 (0) | 2016.10.09 |
[9월22일]수자원공사 사장에 ‘내부 인사’ 이학수씨 (0) | 2016.10.09 |
[9월21일]행복주택, 전국 54곳 16만가구 확정 (0) | 2016.10.09 |